김병환 "K-핀테크 글로벌화, 금융사-핀테크 협업으로 가속화"

  • 금융위, 10일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개최

  • 올해 핀테크 정책 'K-핀테크 글로벌화 통한 성장 지원'

  • 임종룡 "핀테크 성장 위해 해외 진출 필수…투자 지원"

 
10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가 개최됐다 사진 왼쪽부터 김건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사진우리금융그룹
10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가 개최됐다. 사진 왼쪽부터 김건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사진=우리금융그룹]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0일 "K-금융의 글로벌화가 금융회사와 핀테크의 협업을 통해 가속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핀테크와 금융은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에 참석해 "(핀테크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의 핀테크 출자·소유 규제 완화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다음주 중 금융지주회사법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할 예정"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개정안은 금융지주회사의 핀테크 회사 출자제한 한도를 현행 5%에서 15%로 완화하고, 금융지주 자회사인 핀테크 기업의 금융사 소유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금융산업 혁신을 통해 본연의 역할 회복과 함께 새로운 수요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정부는 '2025년 핀테크 특화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룩셈부르크(6월), 미국(10월), 싱가포르(11월) 등 해외 주요 전시회에 K-핀테크 공동관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우리나라 금융이 성장하기 위해선 금융지주사와 핀테크 기업들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김 위원장은 우리은행과의 협업으로 해외에 진출한 핀테크 기업 '캐시멜로'의 전시부스를 방문해 성과를 청취하고 격려했다. 캐시멜로는 해외 현지에서 여행객이 카드 없이 앱으로 외화를 출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개척 중이다.

행사를 공동 주관한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핀테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은 필수적"이라며 "우리금융은 자회사인 우리벤처파트너스와 7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펀드를 조성해 투자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 진출과 투자 유치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핀테크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우리금융을 포함한 핀테크 지원협의체 참여기관들은 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핀테크 기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도울 예정이다. 금융위는 이날 열린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외에도 11월 예정된 핀테크 박람회 '코리아 핀테크위크', '금융회사-핀테크 밋업' 등 핀테크 생태계 구성원 간 지속적인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