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종전 65%에서 45%로 하향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 후 내놓은 보고서에서 “우리는 이제 경기침체가 없을 것이라는 기존 전망으로 되돌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유예 발표 직전인 미국 동부시간 오후 1시께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행될 시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종전 45%에서 65%라고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당시 골드만삭스는 “백악관이 새로운 관세 대부분을 빨리 되돌릴 것 같지 않다”며 “만일 백악관이 그렇게 한다면 우리의 경기침체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을 각각 –1.0%, 5.7%로 전망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시행한 지 18분 만에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은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125%로 올리고 즉시 발효한다”고 밝혔다. 또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는 기존 10%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했다.
이후 골드만삭스는 “이번 발표로 이전의 모든 관세와 상호 관세 10% 부과는 유지되고, 25%의 부문별 추가 관세가 계속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러한 관세를 합치면 (상호관세 발표) 이전 예상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골드만삭스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종전 -1.0%에서 0.5%로 상향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이후에도 상당수의 전문가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10% 기본 관세와 125%로 인상된 대중 관세, 철강·자동차 등 부문별 관세로 인해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이 연초보다 약 21%포인트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르네상스매크로의 닐 두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안도는 시기상조이며, 아직 위험 해제를 선언할 수 없다”며 기존 경기침체 전망을 고수했다.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 역시 “중국을 제외한 상호 관세 유예는 미국 경제가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상승의 위험을 해소한 것이 아니다”고 판단했다. 이어 “무역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중국 이외 지역에서 오는 수입이 급증하면서 2분기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시점을 6월이 아닌, 9월로 연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무역 정책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은 이전보다 다소 완화됐으나, 올해 하반기 경기침체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