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폭탄 관세를 부과하면서 세계 양대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이 사실상 멈춰 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택스파운데이션의 에리카 요크 이코노미스트는 10일(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세 자릿수 관세로 인해 양국 교역 대부분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은 145%에 달한다. 중국도 굽히지 않고 맞불 대응에 나서면서 미국에 84%의 관세를 적용한 상황이다. 그는 "대체재가 없어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교역을) 중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시에테제네랄도 이번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봤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향후 몇 년간 중국의 대미 수출이 절반 넘게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전쟁을 중국과의 '이판사판식'(high-stakes) 대결로 몰아가고 있다면서, 양국 갈등이 당장 퇴로가 안 보일 정도로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이체방크 경제학자들은 미·중이 '무질서한 경제적 디커플링(decoupling·분리)' 과정에 있다고 진단했다.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의 대니얼 러셀은 "중국이 강경노선으로 미국 압력을 흡수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 역량을 과신하도록 전략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양보를 (상대가) 약하다는 증거로 보고 더 많은 압력을 가할 것으로 중국은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대중국 폭탄 관세는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에도 타격을 안길 전망이다. 우선 관세 여파로 미국 소비자들의 생활비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미국의 상품 수입 가운데 13%가량이 중국산이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장원둥 미국 코넬대 교수를 인용해 미국 스마트폰의 73%, 랩톱 컴퓨터의 78%, 장난감의 77%가 중국산이라고 짚었다.
아마존의 앤디 제시 최고경영자(CEO)는 10일 CNBC 인터뷰에서 "일부 온라인 판매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며 가격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에 입점한 중국 판매상들은 관세 여파로 상품 가격을 올리거나 미국 시장 철수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