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의 비중을 동일하게 두는 대선 경선 방식에 무게를 두기로 의견을 모았다. 최종 대선 경선안은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1일 회의를 열고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의 경선 규칙을 잠정 결정했다.
비명(비이재명)계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 요구도 나왔지만, 일반 국민 비중을 높이면 권리당원 권리가 제한되며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앞서 조국혁신당은 민주당에 범진보 진영이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해 대선 후보를 뽑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지만, 민주당에서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위원회는 이날 저녁 김윤덕 사무총장과 만나 논의한 뒤 오는 12일 당원토론회와 의원총회를 거쳐 최종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행 특별당규는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국민 여론을 수렴할 때 일반 여론조사가 아닌 선거인단 투표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