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구 오리온 본사 이미지 [사진=오리온]
오리온이 총 8300억원을 투자해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위한 글로벌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오리온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충북 진천군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내 생산∙포장∙물류 통합센터 구축에 4600억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최근 5년 내 식품기업의 국내 투자로는 최대 규모다.
진천통합센터는 축구장 26개 크기로 생산부터 포장, 물류까지 연결된 원스톱 생산기지다.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올해 중순에 착공하며, 국내는 물론 수출 물량 공급을 담당한다. 진천 생산공장이 완공되면 국내 생산능력은 최대 2조3000억원 수준까지 늘어난다.
조성에는 중국·베트남 법인에서 받은 배당금을 사용한다. 오리온은 2023년부터 해외 법인의 국내 배당을 하고 있다. 올해 2900여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며, 3년간 누적 배당금액은 약 6400억원이다. 오리온은 해외 배당금을 식품 사업 투자와 주주 환원 확대를 위한 배당 재원으로 사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오리온은 러시아와 베트남 등 고성장하고 있는 해외 법인에 대한 투자도 늘린다. 러시아 법인은 현지 판매물량이 최근 6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공장 가동률이 120%에 달하나 초코파이 공급량이 부족해 현지 트베리 공장 안에 새로운 공장동을 건설하기로 했다. 2022년 트베리 신공장을 가동한 이래 3년 만이다. 총투자 금액은 2400억원 규모로, 투자가 마무리되면 연간 총생산량은 현재의 2배인 7500억원 수준까지 늘어난다.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연 매출 5000억원을 돌파했다. 베트남은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인 만큼 총 1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는 하노이 옌퐁공장 내 신공장동을 완공하고, 쌀스낵 라인 증설로 공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선다. 파이·젤리 등 기존 제품의 추가 생산 라인도 확대해 9000억원 수준까지 생산능력을 키울 예정이다. 물류센터와 포장공장이 들어서는 하노이 3공장은 올해 착공해 내년 완공이 목표다.
오리온 관계자는 "1993년 첫 해외 진출한 이래 30년간 성장·투자·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완성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65%를 넘어서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매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는 국내외 법인의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