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ChatGPT]](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4/22/20250422150117613052.png)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고전하고 있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사(새마을금고·농협·축협·신협·수협)들은 오는 6월 금융당국의 'PF 정리 중간 점검'을 앞두고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앞서 당국은 저축은행권에는 PF사업장 정리, 상호금융권에는 PF 대출 충당금 확대(120%)를 요구했다. 하지만 업권은 부동산 시장 침체로 부실채권(NPL) 매수 수요마저 끊어진 상황에서 사실상 불가능한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22일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부실 PF 규모는 지난해 말 3조6000억원, 상호금융은 9조2000억원 수준이다. 당국은 올해 말까지 계획대로 PF 재구조화가 이뤄진다면 금융권을 통틀어 9조3000억원의 부실 사업장이 새롭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당국은 지난해 말 정리 목표(4조3000억원) 달성에 실패한 만큼 올해 상반기에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당국의 계획이 현실성 없다고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최근 PF 채권을 20% 이상 할인해 팔고 있지만 실제 정리된 매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업계 자체적으로 만든 PF 정리 펀드도 △1차 330억원 △2차 2000억원 △3차 2000억원 수준으로 조 단위 부실 채권을 수용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심지어 3차 펀드는 투자자 참여 저조해 당초 목표였던 5000억원보다 3000억원 적게 조성됐다.
저축은행 NPL 흡수를 위해 설립한 전문사 역시 초기 자본금 대비 10분의 1 수준인 100억원에 그쳤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경제가 살아나지 않으니 채권을 받아 갈 사람이 없는 것은 물론 투자자 발길도 끊어졌다"며 "앞으로 4차 펀드를 만든다 해도 언 발에 오줌 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리 대상 PF 액수가 가장 많은 상호금융 표정은 더 어둡다. 상호금융사들은 급한 대로 NPL 자회사를 설립해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신협은 NPL 자회사를 설립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오는 7월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신협은 NPL자회사를 통해 부실채권을 3000억원 규모 감축했다.
하지만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기 때문에 단시간에 부실 문제를 해결하긴 어렵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사실상 NPL 자회사라는 방안도 부실이 옮겨가는 것일 뿐"이라며 "심지어 수협은 당국의 복잡한 승인 절차로 NPL 자회사 설립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당국은 오는 6월까지 저축은행권에는 부실 사업장 정리 마무리를, 상호금융권에는 PF 대출 충당금 120%까지 상향을 요구한 상태다. 반면 업계는 경기 전반이 암울한 만큼 당국에 규제 유예를 요청하고 있다. 당국은 6월 점검회의에서 최근 경제 상황을 고려한 결정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