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자체 개발 AI 경량 모델 무료로 공개..."오픈AI·딥시크 보다 한국어 성능 탁월"

  • 경량 모델 3종 오픈소스로 공개…상업용으로 이용 가능

  • 추론 모델 상반기 출시…AI 에이전트 적용 강조

  • '소버린AI' 방점, 음성 모델 활용 서비스도 조만간 선보여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상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한국의 소버린 AI 생태계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오픈AI·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경쟁적으로 추론형 모델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는 AI 에이전트에 초점을 맞춘 추론 모델을 개발 중이며, 상반기 내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을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네이버의 검색, 쇼핑, 블로그 등에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특화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 최근에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이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라면서 "이 중 기업들이 그래픽처리장치(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개한 3종 모델은 △하이퍼클로바X 시드(SEED) 3B △하이퍼클로바X 시드 1.5B △하이퍼클로바X 시드 0.5B 등이다. 연구용으로만 사용 가능했던 기존 국내 기업들의 주요 모델과 달리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가운데 3B는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 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와 같은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한국어 관련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9개 벤치마크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오픈AI 등 주요 빅테크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도 공개했다. 추론 모델의 강점인 수학,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더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시각·음성 정보 이해, 자동 웹 검색, 앱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호출, 데이터 분석 등 하이퍼클로바X의 각종 기능이 추론 모델과 함께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 "제주도 서귀포 쪽에 아이들하고 갈 만한 관광지 어디 있을까? 후기 좋은 숙소도 예약해줘"와 같은 프롬프트를 네이버의 추론 모델에 입력하면, 모델은 검색 API, 숙소 예약 API 등을 연동해 아기와 갈 만한 후기 좋은 숙소를 찾아 예약까지 대신 해줄 수 있다. 기존에는 AI가 어떤 도구를 활용해야 하는지 이용자가 직접 지정해야 했다면, 네이버의 추론 모델은 다양한 각종 서비스와 연계돼 진정한 AI 에이전트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이퍼클로바X 음성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도 조만간 선보인다. 텍스트 모델의 지식과 추론 능력을 음성 영역에 반영해 감정이 담긴 음성 합성, 음성 스타일 분석, 자연스러운 양방향 대화 등이 가능하다. 상반기 내 개발을 완료하고 하반기부터 여러 제품에 적용할 방침이다. 향후 텍스트와 음성을 자유롭게 오가는 AI 대화 모델도 개발할 계획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음성은 물론, 이미지·영상까지 포함한 네이버의 멀티모달 모델 개발 역량은 오픈AI 등 선도업체의 기술 업데이트에 뒤처지지 않는다"면서 "추론 모델 역시 오픈AI의 GPT4.o와 큰 차이가 없고, 상반기 내에 출시해 네이버는 물론 국내 AI 에이전트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이번 오픈소스 공유로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견인하는 한편, 주권 AI를 일컫는 '소버린 AI'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AI가 한 국가와 사회를 운영하는 기본적인 인프라가 된 상황에서 보안과 안보와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소버린 AI 전략은 선택의 여지가 없이 필수적 요소"라면서 "이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고,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I 저변 확대를 위한 (네이버의) 이러한 노력들이 국내 소버린 AI 생태계의 체력을 더욱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