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정책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해 한층 유화적인 입장을 보인데 힘입어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오른 3만 9606.5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오른 5375.8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07.63포인트(2.50%) 오른 1만 6708.95에 각각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뉴욕증시 마감 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시장 불안 심리를 진정시키고 나섰다. 이어 “그가 금리 인하에 좀 더 적극적이길 바란다”라고 말하며, 금리 인하 압박 공세 수위를 낮췄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 해임을 거론하며 제기됐던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도 다소 완화됐다.
이날 주가 상승은 주로 대형 기술주에 집중됐다. 테슬라는 전날 발표한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정부 업무를 줄이고 테슬라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5.4% 상승했다.
애플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주가는 유럽연합(EU)의 디지털시장법 위반으로 각각 수천억대 과징금을 부과받았음에도 각각 2.4%와 4.0% 뛰었다. 엔비디아 주가는 인공지능(AI) 칩 H20의 중국 수출 제한 속에도 3.9% 올랐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전략 애널리스트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선진국 시장에서 언급되지 않는 중요한 기반”이라며 “이를 위협하는 것이 채권과 달러화에 압력을 가했고, 미국 바깥으로 자금 유출을 가속화했다”라고 말했다.
아메리카프라이스의 러셀 프라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및 파월 의장 관련 발언에 대해 “두 가지 모두 시장이 얻기를 바라던 긍정적인 재료들이었고, 시장은 실제로 그것을 얻었다”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