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에 따르면 전날 공사는 서울시의회, 한국도시계획가협회와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모두의 안심주택’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모인 참석자들은 모든 계층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안심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 민·관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안심주택은 청년, 고령층, 신혼부부 등을 위한 안심주택과 임대형 기숙사를 통합 개발·공급하는 새로운 공공주택 모델이다.
토론회에서는 김기중 SH도시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청년안심주택 특성 및 향후 개선 방향’을 주제로, 서원석 중앙대학교 교수는 ‘해외 고령자 주택의 이해와 정책적 시사점: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서 교수도 “미국의 CCRC(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고령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주거·복지 서비스를 통합 제공한다”며 “한국에서도 도심 내 주택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위원장을 좌장으로 △이창효 한밭대학교 교수 △이정훈 이지스자산운용 대외협력대표 △김종길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위원 △김병연 SH도시연구원장 △최원석 서울시 전략주택공급과장 등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석해 안심주택 활성화 전략과 실행 방안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는 시간도 가졌다.
황상하 SH공사 사장은 “모두의 안심주택은 세대별 특성과 주거 수요를 반영한 중요한 공공주택 정책”이라며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참여 주체 간 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