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글로벌 2위 담수사업 1조원에 매각 검토

  • 해수 담수화 RO멤브레인 사모펀드에 매각

LG화학 청주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LG화학 청주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LG화학이 바닷물을 산업용수로 정화하는 RO멤브레인 필터를 만드는 워터솔루션 부문을 매각할 전망이다. 일본 도레이에 이어 글로벌 2위에 올라 있는 사업으로 매각가는 1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불황이 장기화하고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자 LG화학이 선제적으로 현금 확보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워터솔루션 부문 매각을 위해 사모펀드(PEF)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세부 조건을 조율하고 있다. 글랜우드PE가 신설법인을 설립한 후 LG화학의 인력과 자산 특허 등을 이전받는 사업양수도 방식이 유력하다. 지난해 워터솔루션 부문 매출은 약 2500억원, 매출총이익과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각각 900억원과 650억원 수준이다. 매각가는 EBITDA의 약 20배를 적용한 1조원 초반으로 알려졌다.

워터솔루션 부문의 핵심 제품은 RO멤브레인(역삼투막)이다. LG화학은 2014년 미국 나노H2O를 인수해 특허와 기술력 인력을 확보한 뒤 청주공장에 양산 시설을 구축해 사업을 글로벌 2위로 키웠다. 글랜우드PE는 인수 직후 약 2000억원을 추가 투자해 공장을 증설하고 회사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글랜우드PE는 대기업 내 사업 부문을 분할해 인수하는 '카브아웃' 거래에 특화된 토종 사모펀드다. 지난해 LG그룹의 수처리 자회사 테크로스를 인수해 관련 사업에 진출했으며 과거 LG화학 진단사업 부문도 인수한 바 있다. LG그룹은 글랜우드PE가 인수한 회사들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고 임직원 고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점을 높이 평가해 글로벌 PEF들의 제안을 제치고 글랜우드PE를 새 주인으로 낙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