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금리만 '뚝'…銀 예대금리차 사상 최대

  • NH농협은행 1.55%포인트로 5대銀 중 1위

  • 전체 중 전북銀 7.17%포인트…압도적 선두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8개월 동안 벌어지면서 공시 이래 최대치를 보이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예금 금리는 갈수록 떨어지는 반면, 정부의 가계대출 수요 억제 기조에 대출 가산금리는 떨어지지 않고 있어서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따르면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로 집계됐다. 이 예대차금리는 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상품을 빼고 각 은행이 계산한 결과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NH농협은행(1.55%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0.08%포인트 상향된 수준이다. 이어 신한은행은 전월대비 0.11%포인트 상승한 1.51%포인트, KB국민은행은 0.16%포인트 오른 1.49%포인트로 나타났다. 

하나은행(1.43%포인트)과 우리은행은 (1.38%포인트) 5대 은행 중 4~5위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는 전월 대비 1.23%포인트나 높아진 상태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가 7.17%포인트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위인 한국씨티은행(2.71%포인트)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전체 은행 중 3~4위는 토스뱅크(2.46%포인트)와 광주은행(2.34%포인트)이었다.

이처럼 높은 예대금리차는 정부의 가계대출 수요 억제 방침으로 높아진 대출 금리는 낮아지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금리 하락으로 예금금리만 더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들은 은행연합회 공시가 시작된 2022년 7월 이래 최대 예대금리차를 기록하고 있다. 신한은행(1.51%포인트)과 하나은행(1.43%포인트)의 3월 예대금리차는 공시 집계가 존재하는 2년 9개월 사이 가장 컸다.

KB국민은행(1.49%포인트)의 경우 2023년 1월(1.51%포인트) 이후 2년 2개월 만에, 우리은행(1.38%포인트)의 경우 2023년 2월(1.46%포인트) 이후 2년 1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NH농협은행의 1.55%포인트도 2023년 12월(1.71%포인트) 이후 1년 4개월 내 최대 폭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