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부자 된다더니…트럼프 "비싸면 덜 사면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뉴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뉴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일정 부분 인정하고 미국 국민에게 인내를 요청하고 있다.

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더힐 등 미국 주요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에 대해 기존 입장에서 변화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각료회의에서 “어쩌면 아이들이 인형을 30개 대신 2개를 가지게 되겠다. 그리고 어쩌면 그 인형 2개가 평소보다 몇 달러 더 비싸지겠다”고 언급했다. 이는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4일 NBC 인터뷰에서 “그들이 인형 30개나 필요하지 않다. 3개면 충분하다. 연필도 250개가 아닌 5개면 된다”며 “우리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을 위해 중국과의 무역 적자에 돈을 낭비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값싼 외국산 제품을 줄이고 소비 절제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발언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다른 각료들도 유사한 입장을 내고 있다. 브룩 롤린스 농무부 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달걀 가격 급등에 대해 “미국인들이 뒤뜰에서 닭을 기를 수 있다”고 발언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CBS뉴스 인터뷰에서 “지속적인 번영을 위한 가치”로 경기 침체를 언급했으며,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3월 뉴욕 이코노믹클럽에서 “저렴한 제품을 사는 것이 아메리칸드림의 본질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이 같은 메시지에 대해 미국 정치권 일각에서는 부정적인 반응도 나왔다. 마크 쇼트 전 부통령 수석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정 상황과 발언 간 괴리를 언급했으며, 재러드 번스타인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일반 국민의 반응을 우려하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