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이 14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3월 말보다 4조8000억원 많은 1150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이 3월(+1조6000억원)보다 3조2000억원이나 많고, 지난해 9월(+5조6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13조9000억원)이 3조7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3000억원)이 1조원 각각 불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없어지면서 신용대출도 늘어 전체 가계대출이 4월 상당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3월 하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시행되면서 서울 주택시장이 다소 진정된 만큼 가계대출도 시차를 두고 점차 진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14조4000억원(잔액 1338조7천억원)이나 뛰었다. 앞서 3월 2조1000억원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같은 4월 기준으로는 2020년 4월(+27조9000억원) 이후 5년 만에 최대 증가 기록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6조7000억원, 7조6000억원 늘었다. 박 차장은 "1분기 말 자본 비율 관리를 위해 기업 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은행들이 다시 기업 대출을 재개한 데다가 미국 관세정책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특수은행 중심으로 금융지원책으로 정책성 자금도 지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업 대출 수요 측면에서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투자를 위한 자금 수요가 살아났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수신(예금)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25조9000억원(잔액 2412조5천억원) 빠져나갔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부가세 납부와 배당금 지급을 위한 기업 자금 유출, 지방자치단체의 인출 등으로 36조8000억원 급감했다. 정기예금은 대출 확대에 따른 은행의 예금 유치 노력에도 배당금 지급 등에 따른 기업 예금 감소가 겹치면서 5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24조1000억원)를 중심으로 38조5000억원 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