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계엄선포 시 국회의 계엄해제권 행사에 대한 제도적 보장 강화 △정치 보복 관행 근절 △국민소환제 도입 △국방부 장관 문민화 △대통령과 공공기관 기관장 임기 일치 등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겠다며 개헌을 거론했다.
하지만 대통령 권력 분산 효과는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와 민주당이 위기에 몰리는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이 같은 개헌이 진행되기는 어렵다"며 "당선 후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독주하면 지방정치와 중앙정치를 독점하게 된다. 민주당이 정권을 유지하기 때문에 (대통령 권한 축소)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시한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사법방해죄 신설 △선관위 감사원 감사 허용 △공수처 폐지 △대공수사권 국정원 환원 등의 정치 개혁 방안도 권력 분립 측면에서 긍정적 반응은 덜하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부처 축소(19→13개 부처) △안보·전략·사회부총리 등 3부 총리제 △기재부 내 예산기획실 분리 등 안에 대해서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약간 분권형 측면이 있다. 현재의 대통령제 권한을 분립해서 내려놓고자 설득하는 특성이 있다"며 "개헌과 크게 맞물리는 것은 없다. 법률적으로 해결 가능한 부분이고 그렇기에 급진적이라기보다 보수 쪽에서 기득권 정치를 파고드는 영리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