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 ILO, 미얀마 지진과 노동자 영향 보고서 공표

미얀마에서 3월 28일현지시간 77 규모 강진이 발생하면서 미얀마 중부 짜우세시에 있는 2층 규모 유치원 건물이 무너진 모습 마을 주민 아웅첸미30씨는 어린이 70명 정도가 다니는 곳이라며 사고가 나고 동네 주민들이 모여서 구조 작업을 펼쳤는데 교사 1명과 급식 조리사 1명 유치원생 13명이 숨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미얀마에서 3월 28일(현지시간) 7.7 규모 강진이 발생하면서 미얀마 중부 짜우세시에 있는 2층 규모 유치원 건물이 무너진 모습. 마을 주민 아웅첸미(30)씨는 "어린이 70명 정도가 다니는 곳"이라며 "사고가 나고 동네 주민들이 모여서 구조 작업을 펼쳤는데 교사 1명과 급식 조리사 1명, 유치원생 13명이 숨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국제노동기구(ILO)는 3월 28일 미얀마 중부를 습격한 규모 7.7의 대지진이 노동자 수입과 고용, 경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잠정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대상 지역은 피해가 컸던 자가인 지역, 만달레이 지역, 바고 지역, 수도 네피도 등.

 

보고서에 따르면 지진의 영향을 직접 받은 지역에는 지진 발생 시 기준으로 350만명 이상의 근로자가 거주하고 있었으며, 전원 일자리를 잃었다고 가정했을 경우 하루 3680만 달러(약 53억 엔)의 수입이 상실됐다고 추산했다. 실업상태가 지속되면 연간 손실액은 최대 96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ILO는 미얀마에는 사회보호제도가 충실하게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와 그 가족은 공적 지원을 받지 못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빈곤 리스크 상승 및 비공식 경제 부문에 대한 노동력 유입이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경종을 울렸다.

 

ILO는 인도적 지원의 일환으로 현금 지급의 필요성을 긴급 과제로 제시했으며, 잔해 제거와 인프라 재건 등 피해지역의 고용기회 창출과 공정한 임금 확보 등을 촉구했다.

 

아울러 앞으로도 지진의 사회적 영향과 고용 시장 동향을 주시, 적정한 고용의 확보와 아동 노동・강제 노동 방지를 위한 지원을 지속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