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산업부는 미국 행정부의 관세조치가 발표된 지난달 2일 '관세 대응 바우처' 긴급 1차 공고를 실시한 결과 200개사 모집에 약 500개사가 지원했다.
산업부는 이 추경 사업의 지원 규모를 약 2000개사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관세 애로 상담 통합 창구인 '관세대응 119'에 접수된 피해 사례를 고려해 국내의 대미 간접수출 기업, 해외 대미 수출 제조기업, 중간재 수출 기업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패키지는 관세 피해 대응에 특화된 △피해 분석 △피해 대응 △생산 거점 이전 △대체 시장 발굴 등 4가지 분야 500여개 신규 서비스로 구성된다. 이번 추경사업에서는 기존 500여개 서비스에 더해 해외시장 진출에 애로 사항 중 하나인 해외인증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조치로 인한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를 마련했다"며 "산업부는 앞으로도 중기부 등과 협업해 기업 지원대상·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우리 수출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