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협약식에는 경북도를 비롯해 포항, 구미, 경주 등 지자체와 ㈜GS건설, ㈜HD현대인프라코어, ㈜AMOGY, ㈜GS구미열병합발전, ㈜에이치에너지, (재)경북연구원 등 총 10개 기관이 참여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전력 직접 거래를 통한 지역 단위의 에너지 생산·소비 활성화 및 전력신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4월에 접수를 완료, 11개 광역시도에서 25개 사업을 신청했다.
경북도는 공모 사업 선제적 대응을 위해 2023년 12월부터 사업 구상 연구 용역과 관련 포럼을 개최했으며, 2024년 6월부터는 시군 설명회, 전문가 자문 회의, 전략 회의 등 수차례에 걸친 논의를 통해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사업 모델을 확정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하게 됐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도는 포항(신산업 활성화)과 구미(전력 수요 유치), 경주(신산업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3개 사업을 신청했다.
포항은 영일만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의 수소엔진발전 실증을 통해 40MW급의 무탄소 분산전원을 상용화하여 청정전력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구미는 구미국가제1산업단지에 열병합발전 기반으로 저렴한 전력과 열을 공급해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신규 기업 유치 등 침체된 산업단지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경주는 경북도의 핵심 사업인 햇살에너지농사사업과 연계한 통합발전소 구축 사업으로 다양한 전력 거래 서비스 제공 및 RE100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공동 대응하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분산에너지시스템 확대와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관별 역할은 △도는 종합 계획 수립, 협력 체계 구축, 특화지역 지원 등 행정적 지원을 총괄하며 △포항시와 경주시, 구미시는 인허가, 규제특례, 기업 지원 등 행정 지원 업무 수행 △GS건설과 GS구미열병합발전, 에이치에너지 등 분산 사업자는 무탄소 분산전원 보급, 신규 기업 유치, 전력 거래 비즈니스 모델 확산 △경북연구원에서는 정부 정책 분석, 사업 기획 등 지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AI, 반도체, 전기차 등 전력 수요 급증이 전망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지산지소형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청정전력 확보 및 기업의 경쟁력 강화, 첨단 산업 유치 등으로 지역 경제 재도약의 발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오는 21일 실무위원회를 통해 특화지역 선정 평가를 마무리하고 에너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상반기 중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