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동차 관세 쇼크 현실화…대미 자동차 수출 20% 가까이 '뚝'

  • 산업부 4월 자동차산업 동향…수출 8.8%↓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로 4월 대미 자동차 수출이 급감하면서 전체 자동차 수출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 4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4월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1년 전보다 3.8% 감소한 65억27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의 자동차 수출이 줄어든 것은 지난 1월에 이어 3개월 만이다. 물량 기준 수출은 24만6924대로 지난해 4월보다 8.8% 줄었다.

1~4월 누적 수출액은 238억2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지난해 기저효과에 조업일수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수출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북미 수출이 수출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17.8% 감소한 33억5500만 달러에 그쳤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 수출은 28억9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9.6% 급감했다.

지난 4월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한 미국의 자동차 관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겹치면서 수출 감소가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유럽연합(EU) 수출은 9억53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26.7% 늘었다. 아시아 지역 수출은 53.9%, 아프리카 지역은 42.9% 증가한 각각 6억8100만 달러, 5200만 달러다. 기타 유럽(11.6%, 5억 달러), 중동(4.9%, 4억4600만 달러), 중남미(2.7%, 2억3700만 달러)로 향하는 수출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산업부 관계자는 "북미 외 시장에서는 신차·중고차 수출이 증가했지만 대미 수출은 본격적인 관세 부과와 조지아 신공장 가동 본격화 등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내수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6.7% 늘어난 15만622대로 집계됐다. 전기차(50.3%)와 하이브리드(29.9%)에서 증가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1~4월 누계 판매량도 1년 전보다 3.8% 늘어난 53만8921대로 나타났다.

내수는 늘었지만 수출이 급감하면서 전체 자동차 생산량도 줄었다. 4월 자동차 생산은 38만5621대로 1년 전보다 2.2% 줄었다. 1~4월 생산량은 139만889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