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했다.
외신에 따르면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북한 강원도 원산에서 최선희 북 외무상과 회담을 한 후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이 지속 소통하고 있고, 미래에 직접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과 장소는 언급하지 않고, 합의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만 밝혔다.
그는 북한과의 고위급 접촉을 포함한 대화 재개 필요성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미 간 접촉 재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들었고 북한도 이를 들었다"면서도 "아직은 여기까지"라며 추가적 진전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만 라브로프 장관의 이 발언이 북핵 해결 의지를 피력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평소 발언에 관한 것인지 미국 측에서 별도로 접촉 재개 의사가 전달됐다는 의미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대해서는 "북한 지도자의 제안에 응하고 있고 진정성 있는 이런 연대 행위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지원 형태는 북한이 스스로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북한군의 추가 파병을 염두에 둔 발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의사를 표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이 사용하는 기술은 자국 과학자의 노력의 산물이며 우리는 북한의 열망을 존중하고 핵 개발을 추진한 이유를 이해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