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 확인…"최초"

  • 세움장식과 관테 장식용 추정

비단벌레 날개 장식 사진국유청
비단벌레 날개 장식 [사진=국유청]

신라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확인됐다. 금관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토된 금동관에서 이러한 날개장식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경주시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경주 황남동 120호분 발굴조사 중 2020년 출토된 금동관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황남동 120-2호분 출토 금동관에서 발견됐다. 이 금동관은 3개의 4단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 2개의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그리고 관테로 구성되었다. 세움장식과 관테는 거꾸로 된 하트모양의 구멍을 뚫어 장식하였는데 비단벌레 날개는 이 구멍의 뒤쪽에 붙어 있었다. 금동관 곳곳에 뚫은 구멍을 화려한 빛깔의 비단벌레 날개로 메워 장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지금까지 모두 13곳에서 15장이 수착(흡착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된 상태)된 채로 발견됐다. 금동관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붙어 있는 날개장식이 7장이었고 나머지 8장은 관에서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져 있는 상태였다.
 
금동관에 그대로 붙어 있던 날개 장식(7장)은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에서 3장이 겹쳐진 상태였고, 나머지 4장은 원래의 위치에 한 장씩 붙어있었다. 현재 발견된 날개는 대부분 흑화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원래의 빛깔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금동관 모식도 및 비단벌레 날개 확인 위치 사진국유청
금동관 모식도 및 비단벌레 날개 확인 위치 [사진=국유청]

 
그동안 경주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쪽샘 44호 고분 등에서 출토된 말갖춤(馬具, 말 안장·발걸이 등 일체), 허리띠 등에 비단벌레 날개가 장식된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금관이나 금동관에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사용된 것은 120-2호분 출토 금동관이 최초이다. 특히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은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점에 비춰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금동관 등을 착용했던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하는 동시에 화려했던 신라 공예기술과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황남동 120호분 발굴조사를 비롯한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성과를 일반시민 및 학계 연구자들과 지속적으로 공유하겠다"며 "관련 조사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이어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상태 사진국유청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상태 [사진=국유청]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사진국유청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사진=국유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