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청은 지난 17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의 원인 규명과 피해 규모 분석을 위해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은 6월 20일까지 현장 감식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형 이번 화재의 발화 원인, 피해 경로, 구조적 취약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최초 발화 관련 가능성이 제기된 특정 기기에 대해서는 국립소방연구원이 주관해 재현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실험을 통해 실제 현장과 같은 조건에서 인화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게 된다. 당시 타이어용 생고무를 예열하는 전기 오븐 장치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조사단은 화재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와 유해물질 유출 가능성 등 2차 피해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 향후 제도개선과 기술적 보완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조사단은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방재시험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등 총 8개 기관, 16명으로 구성됐다.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 분야의 공학박사와 화재·안전 분야 대학교 교수진도 전문가 자문위원 자격으로 참여한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이번 조사는 단순 원인 규명에 그치지 않고 유사 대형화재 예방과 제조시설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는 관계부처와 지자체, 민간에 폭넓게 공유해 실효성 있는 안전 대책 수립 근거로 활용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