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이에 라마포사 대통령은 "남아공에서 집단학살은 없다"며 반박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양 정상은 이날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가운데 회담 초반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 덕담을 주고받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받으면서 회담의 초점은 '백인 농부 학살' 논란으로 급격히 옮겨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집단 살해 피해를 보는 사람은) 백인 농부들"이라며 "그 농부들은 흑인이 아닌 백인"이라고 주장한 뒤 "그들은 남아공을 떠나고 있다. 이것은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신(라마포사 대통령)은 그들이 땅을 빼앗도록 허용하고, 그들은 땅을 빼앗을 때 백인 농부를 살해한다. 그들이 백인 농부를 살해해도 그들에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라마포사 대통령은 "소수 정당 대표의 주장일 뿐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완전히 배치된다"며 "누구도 토지를 빼앗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우리나라에 범죄가 있고, 사람이 죽는다"면서 "범죄에 의해 죽는 것은 백인만이 아니다. 대부분 흑인"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천명이 매장된 곳'이라고 주장한 장소에 대해 "어디인지 알고 싶다. 나는 저것을 본 적이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아울러 "넬슨 만델라(전 남아공 대통령)로부터 우리는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탁자에 앉아서 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며 이와 관련해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양국 간 교역 확대와 희토류 등 전략광물 협력 확대를 의제로 삼고 싶다는 뜻을 밝혔지만,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백인 농부' 발언에 집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도중 백인 희생자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통째로 건네기도 했다.
AP통신, CNN, 워싱턴포스트(WP) 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두고 "근거가 없다"거나 "잘못된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2월에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매복 공격했던 사건을 연상케 했다"고 짚었다.
남아공 현지 매체 '데일리 매버릭'은 이날 회담을 두고 "트럼프가 집무실에서 멀티미디어 매복 공격을 했으나 라마포사는 침착함을 유지했다"며 라마포사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공세에 비교적 의연하게 대응했다고 보도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남아공에서 집단학살은 없다"고 거듭강조했다. 또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 때 G20 참석 여부에 대한 기자 질문에 "미국이 없으면 그것은 이전과 같은 의미를 갖지 못한다"면서도 참석 여부에 대한 확답을 하지 않았다. 이에 라마포사 대통령은 남아공에 미국이 필요로 하는 9가지 핵심 광물이 매장돼 있다면서 "우리는 (미국과) 협력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남아공 내 백인 농부 박해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으며, 남아공에 대한 원조 중단 행정명령을 발동하고 지난 3월에는 주미 남아공 대사를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하고 추방하는 등 남아공과 대립각을 세워왔다. 또한 모든 난민 수용을 중단한 가운데 유일한 예외로, 남아공 아프리카너 백인 49명을 난민으로 받아들여 정착을 돕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