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를 두고 격돌했던 미국과 중국이 이제 중국어-영어 번역을 두고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논란은 대중국 강경파인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이 중국 당국의 영문 번역을 신뢰할 수 없다고 저격하면서 촉발됐다. 루비오 장관은 지난 1월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발언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려면 중국어 원문을 봐야 한다"면서 "(중국 당국의) 영문 번역은 맞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중국 당국 번역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싱가포르 싱크탱크 ISEAS-유소프 이샥 연구소의 팡중잉 선임연구원은 루비오 장관이 트럼프 1기 때 관세 정책을 설계했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전 무역대표부(USTR) 대표로부터 불신을 물려받은 것 같다면서 "정치적 불신 자체가 오해 또는 허위 정보를 만들어내는 핵심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팡 연구원은 이어 "사실 양국 모두 충분한 통번역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향후 다가오는 본격적인 협상에서는 대면 소통을 늘리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루비오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의 지난 1월 통화와 관련해서도 번역 문제를 제기했다. 당시 왕 부장이 루비오 장관에게 '호자위지'(好自爲之)라는 성어를 사용했는데, 이를 중국 외교부는 영문으로 번역하면서 '알맞게 행동하라'(act accordingly)라고 번역했고, 70대인 왕 부장이 50대인 루비오 장관에게 훈계성 발언을 했다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와 관련해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당시 통역사는 내가 과하다고 느낄 만한 말을 하지 않았는데 그들(중국)은 이런 식으로 장난을 친다"면서 "예를 들어 내게 '선을 넘지 말라'는 식의 경고를 했다는데 실제로 그런 말은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함부르크 대학 평화안보정책연구소의 서빈 모크리 연구원은 "루비오 장관의 문제 제기는 '미국은 중국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고, 중국은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고 하는 인식을 드러내는 것"이라면서 "번역을 통해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는 생겨도 핵심 메시지는 일관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