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장관 권오을)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남자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기사를 보도하면서, 가슴에 붙어있던 일장기를 삭제한 ‘일장기 말소사건’을 ‘2025년 8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전했다.
3·1 운동 이후 일본은 민심을 달래고 식민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한국인이 경영하는 한글 신문을 허가했다. 그러나 기사 내용은 사전 검열 체제 아래 두어 수정·삭제가 가능하도록 관리했고, 1930년대 중반 중·일전쟁 확전으로 일본 군국주의화가 가속화되며 총독부의 언론 통제도 더욱 까다로워지고 엄격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36년 8월 베를린 하계 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이 금메달을 차지했고,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손기정과 동메달을 획득한 남승룡의 승리를 한국 민중에게 민족적 자긍심과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최대의 쾌거로 평가하며, 연일 보도를 이어갔다.
그 과정에서 조선중앙일보는 8월 13일 자 기사에 마라톤 시상식 사진을 실으면서, 손기정과 남승룡의 유니폼에 가슴에 있던 일장기를 삭제했다. 당시 사진 상태가 좋지 않아 처음에는 일제 검열관이 일장기의 의도적 삭제를 파악하지 못했다. 같은 날 동아일보가 보도한 사진도 일장기의 표식이 흐릿하게 보이도록 수정됐다.
이후 8월 25일 동아일보의 석간신문에 손기정 선수 유니폼의 일장기를 완전히 삭제한 사진이 등장했다. 이 사건은 일본 검열 당국의 주의를 끌었고, 당일 일본 경찰은 동아일보의 발매와 배포를 금지시키고, 관련자 다수를 연행하여 취조했다. 8월 28일 동아일보는 10개월간 정간됐다. 조선중앙일보도 9월 4일 보도를 끝으로 자진 휴간하면서 결국 폐간됐다.
이 사건은 단순히 언론 탄압을 넘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던 한국 언론의 저항을 상징하는 사례로 기록됐다. 또한, 식민지 시기 일제의 언론 통제가 얼마나 철저했는지를 드러내며, 민족 언론들이 맞서 싸워야 했던 정치적 현실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운산 중령 [사진=유족]
또한 보훈부는 6·25전쟁 당시 동부전선에서 남침하는 북한군의 공격을 지연시켜 국군의 반격 기반을 마련한 이운산 육군 중령을 2025년 8월 이달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운산 중령(전투 당시 소령)은 전쟁 발발 당시 제6사단 제2연대 제3대대장으로 강원도 인제군 현리 북쪽에서 38선 경계 임무를 수행하던 중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았으나 현리·홍천지역에서 적을 저지하고 격퇴했다. 이후 7월 말까지 충주·수안보·문경·함창 일대에서 북한군 제1·12사단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며 적의 공세를 효과적으로 격퇴하는 데 일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