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노선버스 운행 대폭 개선...'시민 교통편의 증진'

  • "연내 버스노선 순차적으로 개선…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를 위해 지속 노력"

용인에서 강남역 방면 운행하는 5003번 2층 전기버스사진용인시
용인에서 강남역 방면 운행하는 5003번 2층 전기버스[사진=용인시]

경기 용인시(시장 이상일)는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해 ‘2025년 하반기 노선버스 운행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에 들어갔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개선은 광역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를 아우르며 혼잡한 노선의 증차와 노선 신설, 친환경 전기버스 도입 등 교통 현안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광역버스의 경우 5003번(남동~동백~강남역) 노선에 차량 1대를 증차해 기존 19대에서 20대로 운행을 늘리고, 9241번(한숲~기흥~판교)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 전세버스를 각 2회씩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좌석예약제 광역버스 중 5개 노선을 대상으로 각 노선별로 1~2회씩 증회 운행할 예정으로, 1550번(1회) 5002번(1회) 5006번(1회) 5500-2번(2회) M4101번(2회) 등 총 16개 노선에서 하루 41회 운행된다.
 
또한 5003번과 5000번 노선에는 현재 운행 중인 2층 전기버스 9대(5003번)와 5대(5000번)에 더해 각각 3대, 6대를 추가 도입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더욱 높일 예정이다.
 
시내버스는 고진 힐스테이트 등 대규모 택지개발지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8번(용인터미널~신원아파트)과 20번(용인터미널~경기광주) 노선의 경로를 조정해 올해 12월부터 각각 고진역과 경기광주역 방면을 경유하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마을버스도 대중교통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선이 이뤄진다.
 
시는 고매동 주택단지와 동탄역을 연결하는 노선 신설을 추진 중이며, 올해 하반기 운행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58-1번(흥덕지구~구성역5번출구~죽전역)은 연내 차량 1대를 증차할 계획이다.
 
15번(신봉동~수지구청역~미금)과 15-2번(신봉동~수지구청역~죽전) 노선은 전기버스로 교체돼 9월과 10월부터 전기버스로 운행된다.
 
한편 시는 운수종사자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으로 시가 지정한 양성교육기관에서 120명이 교육을 수료했으며, 이 중 101명이 지역 운수업체에 취업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이상일 시장은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부분이 대중교통 불편”이라며 “버스 노선 개선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