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합참차장 후보 "미군 태세, 숫자 아닌 역량"... 주한미군 영향 주목

크리스토퍼 마호니 미 합참차장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크리스토퍼 마호니 미 합참차장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미군 합동참모본부 차장으로 지명된 크리스토퍼 마호니 후보자가 "우리는 미군의 태세를 병력 숫자가 아니라,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역량을 바탕으로 판단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마호니 후보자는 11일(현지시각)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이같이 답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의 미군 전력의 중대한 감축이 인도-태평양 안보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냐'는 질의를 받은 그는 "가정적인 상황에 대해 추측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인준된다면, 합참의장과 국방장관(전쟁부 장관)이 한국과 일본 내 미국의 역량을 평가하고 권고안을 마련하는 일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주한미군을 책임지는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은 지난달 8일 기자 간담회에서 "주한미군 내에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라 역량"이라며 "한반도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유지하느냐가 핵심"이라고 말한 바 있다.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나온 브런슨 사령관의 발언은 '역량만 유지된다면 감축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마호니 후보자 역시 비슷한 입장을 밝힌 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기본 방침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곧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의 새 국방전략(NDS) 등에서 현재 2만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의 규모 변화가 반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면서 마호니 후보자는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은 전례 없는 수준의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며 "이들의 공조 강화는 미국의 국가 안보에 있어 우려스럽고 점증하는 군사 위협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이들 중 한 국가와 긴장하거나 충돌할 경우 (이 중) 또 다른 국가가 개입할 가능성, 이들이 조율된 행동에 나설 경우 미국의 비상계획 및 합동 전력 구조의 핵심 전제가 무력화될 가능성, 이들이 공동 군사행동이나 반미 동맹을 하지 않더라도 첩보·기술을 공유함으로써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약화시킬 가능성" 등을 북·중·러 및 이란의 공조 강화에 따른 3가지 주요 도전 과제로 꼽았다.

마호니 후보자는 한미 동맹에 대해 "한미 동맹은 한반도뿐 아니라 그 너머까지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한 핵심축"이라며 "한국에서의 미군 주둔은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에서의 강력한 공격 억제력을 제공한다"며 "북한을 포함한 지역 내 모든 위협에 대응하는 위한 연합 재래식 억제 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에 국방비 증액과 자국 군사 역량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호니 후보자는 한미일 3국 안보 협력에 대해선 "3국 안보협력 프레임워크를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