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립대학교가 반년째 총장 없는 상태로 표류하고 있다.
취임 한 달 만에 직위해제된 총장이 여전히 복귀하지 못한 채, 직무대리 체제가 대학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직무대리의 관용차 사용, 업무추진비 집행 등으로 권한 남용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불안정한 체제의 민낯이 드러났다. 이대로라면 대학 운영은 물론 지역사회 신뢰도까지 흔들릴 수 있다.
문제의 핵심은 직위해제의 불명확한 법적 근거다. 현행법은 ‘기소된 자’에 한해 직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충남도는 ‘수사 개시’만으로 총장을 직위에서 배제했다.
기소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년 넘게 공백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법 취지를 크게 벗어난 조치다. 행정이 법적 근거를 확실히 하지 않은 채 ‘기다림’을 선택한 결과, 대학은 리더십 부재라는 심각한 공백에 빠졌다.
직무대리 체제의 부작용은 이미 수면 위로 드러났다. 총장 전용 관용차 사용과 수백만 원대 업무추진비 집행이 대표적이다. 이는 “총장이 없는 상황에서 직무대리가 총장 행세를 하고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도의회가 “공공기관 관행에 어긋난다”고 질타한 것도 단순한 개인 일탈 문제가 아니라, 총장 부재 체제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한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지역사회의 불안이다.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은 물론 도민들까지 “총장이 있어야 대학이 정상화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교육은 하루, 한 학기라도 지연될 수 없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남도립대는 ‘수사 결과를 지켜본다’는 명분 아래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도립대 총장 공백은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다. 공공대학 운영의 근간을 흔들고 지역 신뢰를 약화시키는 중대한 사안이다. 충남도는 더 이상 책임을 미뤄서는 안 된다.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직위해제를 재검토하고, 정 총장의 복귀 여부를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 그것이 대학과 지역사회를 안정시키는 최소한의 책임이자, 공공기관으로서 도의 책무다.
“총장 없는 도립대”라는 불명예가 길어질수록 대학은 더 큰 상처를 입는다. 충남도는 지금이라도 결단을 내려야 한다. 기다림은 이미 충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