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조지아 주지사, 방한 추진하며 현대차 면담 요청..."현대차는 중요 투자자"

  • 대미투자 우려 커지자 한국 '달래기' 행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준공식에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마친 후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기아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준공식에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마친 후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기아 제공]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최근 한국인 대규모 체포 사태 이후 한국 방문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한은 현대자동차 관계자 면담 요청을 포함하며 대미투자 우려를 진정시키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21일(현지시간) 미 현지 매체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AJC)에 따르면 켐프 주지사실이 지난 8일 "주지사가 곧 한국을 방문하며, 현대자동차 관계자 면담을 요청한다"는 이메일을 발송했다고 전했다. 이메일에는 "현대자동차는 조지아주의 중요 투자자이며 파트너"라는 내용도 담겼다.

이메일 발송 시점은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지난 4일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해 한국인 317명을 포함한 475명을 체포한 지 나흘이 경과한 시점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위축 가능성이 높아지자 주지사가 직접 수습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조지아주와 세 번째로 큰 국제 무역 파트너이며 오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해왔다.

켐프 주지사실은 AJC에 "이번 방한은 (ICE의 한국 근로자 체포) 9월 4일 이전부터 협의 중이었다"며 "이번 방문은 조지아주의 경제, 교육, 문화 파트너와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켐프 주지사의 구체적인 방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10월 28~29일 일본에서 미국 남부 주지사들과 함께 참석하는 국제회의 전후 한국 방문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전후 방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이번 방문이 성사되면 켐프 주지사의 3번째 방한이지만 사건의 심각성과 여론의 악화 등으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AJC는 이번 방문이 켐프 주지사 임기 마지막 해를 맞아 리더십과 외국인 투자 유치 성과를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겼다고 보도했다. 앞서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8일 AJC에 조지아주 지도부가 배터리 공장 완공이 2~3개월 지연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조지아주에서 한국 근로자 단속을 진행한 ICE는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대부분이 적절한 비자를 소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무뇨스 CEO는 이들 중 상당수가 배터리 기술 분야의 고숙련 전문가라며 미국 비자 시스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사건은 한국 내 여론 악화로 이어졌으며 공장 인력 재투입 문제 등 후속 과제도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이번 방한에는 트립 톨리슨 서배너 경제개발청장도 동행할 예정이다. 그는 "그동안 한국 지도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조지아주와 현대의 관계를 강화해왔으며, 이번 한국 방문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톨리슨 청장은 지난 17일 현지 매체 '서배너 모닝 뉴스'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국인들에 의지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이 공장 일정에 맞춰 복귀하길 원한다"고 말한 바 있다.

켐프 주지사도 16일 "이번 사건은 현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비자 문제와 관련해 백악관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미 의회조사국(CRS)은 12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한미정상회담의 긍정적인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한·미 관계에는 도전과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노동자들에게 수갑과 족쇄를 채우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미국 이민정책이 외국 투자를 통한 미국 제조업 일자리 확대라는 미국의 목표와 상충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