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성명을 내고 "'두 국가 해법' 가능성을 지속시키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노력의 일환"이라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또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영상 메시지에서 "평화와 '두 국가 해법'에 대한 희망을 되살리기 위해 나는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역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는 성명을 내고 "호주는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하고 오랜 염원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을 유대인 국가로, 팔레스타인을 팔레스타인인 국가로 각각 인정해 두 나라가 공존하는 방안을 뜻한다. 22일에는 또 다른 G7 국가인 프랑스도 팔레스타인 승인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유엔총회 기간 중 룩셈부르크·벨기에 등도 이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인민의 땅과 성지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고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데에 중요한 진전"이라며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반대해 왔다. 그는 지난 18일 영·미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영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방침과 관련해 "그 부분에서는 총리와 의견이 불일치한다"며 "사실 우리 사이에 몇 안 되는 의견 불일치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다.
영국 BBC는 유엔 회원국이 되려는 모든 국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미국 입장이 중요하다며 미국이 동의하지 않는 한 팔레스타인 국가는 성립할 수 없다고 짚었다. 안보리는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등 5개 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 거부권이 있다. 이에 상임이사국 중 한 나라라도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에 반대하면 다른 모든 나라가 찬성하더라도 승인될 수 없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이번 서방 국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상징성은 크지만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 소속 요시 메켈버그 선임연구원은 워싱턴포스트(WP)에 "이번 조치는 외교적 역학구도를 바꾸고 변화에 힘을 더할 것"이라면서도 "무기 판매 제한이나 제재 같은 구체적 조치가 뒤따르지 않으면 큰 차이를 만들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