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휘영 장관 "출판, K-콘텐츠 뿌리…현장에 귀기울일 것"

  • 출판, 유통, 지역서점, 수출, 웹소설 분야별 관계자 만나

  • 생생한 현장 의견 청취

  • 출판산업 지원 의지 전달

20250926-최휘영 장관 출판계 소통 간담회06jpg
최휘영 장관은 26일 서울 마포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출판계 소통 간담회’를 열고 출판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사진=문체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6일 "출판은 지식재산(IP) 확장을 통해 콘텐츠 산업 전반에 선순환의 소비구조를 형성하는 힘을 가진 'K-콘텐츠'의 원동력이자 뿌리 산업이다"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서울 마포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출판계 소통 간담회’를 열어 출판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출판산업 발전을 위한 분야별 지원방안을 논의하며, 이처럼 말했다. 

최 장관은 “저 또한 책의 가치에 크게 공감해 책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며 출판은 지식과 상상력의 보고이자, K-콘텐츠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출판산업도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도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보다 다양한 도서가 출판·유통되고 그 매력이 세계로 확산해 가도록 현장에 귀 기울이고 다각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출판, 유통, 지역서점, 수출, 웹소설 등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출판산업의 현황을 공유하고 변화하는 기술·사회 환경에 맞춰 필요한 출판 분야 지원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20250926-최휘영 장관 출판계 소통 간담회08jpg
최휘영 장관은 26일 서울 마포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출판계 소통 간담회’를 열고 출판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사진=문체부] 

특히 출판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출판생태계 전반에 대한 정부지원과 예산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K-북’에 대한 해외의 관심도에 걸맞은 번역과 수출 대행사 지원, 독서 공유(텍스트힙) 시대에 발맞춘 지역서점 기반의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미래 성장동력이 될 웹소설 전문인력 양성 등을 주문했다. 또한 출판 제작비 세액공제 도입 등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 역시 강조했다.

출판 분야에서는 강성민 파주출판문화도시재단 이사장, 김소영 문학동네 대표, 이광호 한국출판인회의 회장, 조소정 위고출판사 대표가 자리했다. 유통 분야에서는 박현진 밀리의 서재 대표, 허정도 교보문고 대표가 참석했다. 지역서점 분야에서는 오명영 한국서점조합연합회 회장, 이대건 동네책방네트워크 회장, 수출 분야에서는 이정민 제이엠(JM)에이전시 대표, 홍순철 비시(BC)에이전시 대표, 웹소설 분야에서는 김환철 대한출판문화협회 부회장 겸 한국웹소설협회 회장, 손제호 문피아 대표가 자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