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 데이터센터 전시회 참가··· 美 'UL인증' 배전반 등 기술 공개

  • 8~9일 아시아 최대 규모 'DCWA 2025' 열려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 2025 부스 조감도 사진LS일렉트릭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 2025' 부스 조감도. [사진=LS일렉트릭]
LS일렉트릭은 오는 8~9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데이터센터 전시회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DCWA) 2025'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구현하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 회사는 △미국 비영리기관 UL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모듈러 파워 솔루션 △직류(DC) 배전 시스템 등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풀 패키지를 선보인다. 

LS일렉트릭은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배전반 전략 제품을 공개한다. 미국 진출에 반드시 요구되는 UL 인증을 확보한 제품들로, 전력시험기술원(PT&T)의 제품 출하 전 PI 테스트(제품 성능 검증 테스트)를 통해 신뢰성을 강화했다.

모듈러 파워 솔루션은 기존 콘크리트 건축물 전기실을 대체해 컨테이너 구조물 내부에 전력 수·배전, 제어에 필요한 모든 기자재를 구비한 모듈형 데이터센터 플랫폼이다. 사전 제작 방식으로 최적의 환경과 설비를 통해 제작·검증돼 신뢰성은 물론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신속한 납기가 가능하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가 고전압 직류(HVDC) 기반으로 전환되는 트렌드에 발맞춰 차세대 스마트 직류 배전 솔루션도 공개한다.

LS일렉트릭은 최근 아세안 지역이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아세안 주요 국가들의 데이터센터 시장에 대한 사업을 본격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는 싱가포르를 비롯해 말레이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한 바 있다.

AWS는 아세안 데이터센터에 약 330억 달러(약 45조원) 이상 투자하고, 구글은 총 80억 달러(약 11조원) 이상을, MS는 최소 68억달러(약 9조 2900억원)를 투입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의 올해 북미 데이터센터 관련 수주액은 4000억원에 육박한다.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사용이 확산되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미국은 물론 데이터센터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아세안 시장도 본격 공략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분야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