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서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학 연구·생태 관광 명소로 '주목'

  • 지정 이후 총 521만명 방문…부안군, 지오디스커버리 센터 조성 통해 컨텐츠 강화

전북 서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지질학 연구와 생태 관광의 명소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학생들이 부안군의 대표 지질명소인 채석강을 찾아 현장답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부안군
전북 서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지질학 연구와 생태 관광의 명소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학생들이 부안군의 대표 지질명소인 채석강을 찾아 현장답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부안군]
전북 부안군은 전북 서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지질학 연구와 생태 관광의 명소로 주목받고 있다고 2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지난 9월 30일부터 사흘간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학생들 100여명이 부안군의 대표 지질명소인 채석강을 찾아 현장답사를 진행했다.

채석강은 약 7천만 년 전 퇴적층이 파도와 바람에 의해 절벽으로 드러나며 형성된 곳으로, 지구의 시간표라 불릴 만큼 다양한 퇴적 구조가 잘 보존돼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 속 이론을 실제 지층에서 확인하며 생생한 현장 경험을 쌓았다.

현재 부안군에는 채석강 외에도 적벽강, 솔섬, 직소폭포, 진리 공룡알 화석지 등 천혜의 자연경관과 지질학적 가치가 공존한다. 

이러한 지질자원은 지질학 전공자뿐 아니라 일반 관광객에게도 특별한 매력을 선사한다.

전북 서해안 지질공원은 2023년 국내 최초 ‘해안형’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년 주기의 첫 재검증 시기를 맞아, 지난 7월 유네스코에 재검증 신청서를 제출했다.

지정 이후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총 521만명이 지질공원을 방문했으며, 올해 상반기 관광객이 232만명이 방문하는 등 유네스코 국제 브랜드 지정 효과를 확인해주고 있다. 

또한 2024년 지질공원 만족도 조사에서도 15개 항목 중 7개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탐방 프로그램과 시설 운영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얻었다.

군은 변산반도 격포해수욕장 인근에 ‘지오디스커버리 센터’를 조성해 채석강·적벽강과 연계한 지질생태 교육과 체험, 학술 포럼 등 다양한 활동의 중심 거점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권익현 군수는 “앞으로도 대학교 및 초·중·고 학생과 연계한 현장 교육과 지질생태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해 지질공원이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3회 부안붉은노을동요제 참가 열기 ‘후끈’
지난해 열린 부안붉은노을동요제사진부안군
지난해 열린 부안붉은노을동요제.[사진=부안군]
부안군은 노을이 아름다운 변산 해수욕장에서 열리는 ‘제3회 부안붉은노을동요제’ 예선 무대에 진출할 25팀이 동영상 심사를 통해 선발됐다고 2일 밝혔다. 

동영상 심사는 강원도부터 서울, 부산, 대전 등 까지 등 전국 각지에서 사전에 신청한 189팀, 260명이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특히 2년 전 처음 개최한 것을 고려할 때 올해의 경우 첫 해 대비 3배 가량 참가팀이 증가해 전국 최고의 동요제로 성장했다는 점을 입증했다.

‘제3회 부안붉은노을동요제’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부안 변산해수욕장 일원에서 열리는 ‘2025 부안붉은노을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예선은 10월 25일 오후 2시부터, 본선은 10월 26일 오후 2시부터 진행된다. 

바다와 노을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제3회 부안붉은노을동요제’는 전 국민에게 부안이 보유한 붉은노을이라는 자연과 문화관광자원을 홍보함으로써 부안의 관광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