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반도체 부품기업 아이에이가 ‘금전대여 지연공시’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된 데 이어, 세무당국의 특별조사 정황까지 겹치며 경영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올들어 전환사채(CB) 발행, 유상증자, 단기차입 등을 연이어 단행한 가운데, 대주주 및 경영진과의 특수관계자 간 자금거래가 크게 증가한 점도 경계해야할 부분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 10일 아이에이를 공시불이행(금전대여 결정 지연공시)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했다. 해당 사안은 4월 21일 금전대여 사유가 발생했음에도, 약 3개월 뒤인 8월 13일에 이르러서야 공시된 점이 결정적 사유로 작용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8월 13일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을 사전 통지하며 공시관리 체계의 미비 가능성을 지적한 바 있다.
회사 측은 지연 사유에 대해 “단순히 놓친 것이고, 거래소에 소명을 잘해 벌점 3.5점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유증·CB·차입 이어 특수관계자 대여까지…'자금 순환' 구조 노출
아이에이는 1월 유상증자 결정(납입 2월), 2월 제8회차 전환사채 155억원 발행, 각종 단기차입 등 올 상반기 단기성 자금 조달을 집중적으로 실행했다. 이후 확보한 유동성 일부는 특수관계자에 대한 자금 대여 등으로 이어졌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최대주주 디씨이(지분 24.92%)에 대해 70억원의 단기대여가 이뤄졌고, 디씨이 명의 CB 40억원, 대표이사 최동철 명의 CB 25억원 등 특수관계자가 연관된 금융거래가 포착됐다. CB 발행 당시 자금 사용처는 타법인 주식취득 100억원, 운영자금 55억원으로 공시됐다.
이 같은 조달-대여 구조는 6월에 이르러, 보유 부동산의 매각 계약으로 이어졌다. 아이에이는 서울 문정동 소재 토지 및 건물의 매각 계약(310억원 규모)을 체결하고, 8월 20일을 소유권 이전 예정일로 공시했다. 해당 자산은 기존에 하나은행, 신한은행, 기업은행, 폴라리스AI 등 금융권 대출의 담보로 활용돼 왔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유증과 CB 등으로 조달한 자금이 특수관계자에게 대여된 뒤, 담보자산을 처분해 유동성을 다시 확보하는 구조는 자금순환에 가깝다”며 “공시와 회계상 정당성을 따지기 전에 내부통제 장치가 작동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표이사·최대주주·CB 투자자 '3중 포지션'…이해상충 우려도
아이에이는 지난 7월 15일, 기존 공동대표 체제에서 최동철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앞서 4월에는 최대주주가 디씨이로 변경됐으며, 디씨이의 법인등기상 대표이사 역시 최동철 대표가 겸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디씨이(최대주주)–최동철 대표(경영자)–개인 CB 투자자’ 구도가 형성되면서, 자금 흐름 전반에 걸친 ‘이해상충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디씨이와 최 대표 모두가 전환사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주가나 전환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귀속 문제와도 연결된다.
아이에이 관계자는 “자금조달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며 “최동철 대표가 회사(디씨이)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아이에이가 세무당국 특별조사 대상에 포함된 정황도 포착됐다. 최근 국세청은 아이에이를 포함한 복수의 법인에 대해 비정기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아이에이 관계자는 “올해가 아닌 2024년 이전 기점으로 세무조사를 받는 것”이라며 “최 대표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세무조사”라고 선을 그었다.
현금흐름 창출력 제한적… 외부충격 방어력↓
아이에이는 문정동 자산 매각을 통해 확보할 예정인 310억원을 통해 일부 유동성 확보에는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당 자산이 이미 복수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돼 있었던 만큼, 잔금 수령 이후의 담보 해제·차입 상환 스케줄도 변수로 남아 있다.
회사 측은 반기보고서를 통해 하나은행, 기업은행, 신한은행, 폴라리스AI 등과의 단기차입 및 담보 계약 구조를 명시하고 있다. CB, 유증, 차입, 자산매각으로 이어지는 순환이 반복될 경우, 단기성 조달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구조가 고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장 관계자는 “현금 흐름 창출력 자체가 제한적인 구조에서 단기조달–대여–매각 구조가 반복될 경우, 결국 외부 충격에 대한 방어력이 떨어진다”며 “불성실공시 지정과 세무 이슈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만큼, 경영진의 대응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