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는 17일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 구역인 완산구 웨딩거리 일대에서 웨딩거리 상인회장을 비롯한 골목 상인들과 글로컬 상권의 청년 상인들, 상권 정책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유로운 분위기로 정보를 공유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커피챗’을 개최했다.
‘커피챗’은 형식적인 회의에서 벗어나 커피 한 잔과 함께 정보를 공유하는 부담 없는 소통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해법을 찾고자 하는 대화의 장으로, 이날 행사는 소상공인 정책과 지역 상권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현장과 전문가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우 시장은 지역 소상공인과 청년 창업가 등과 함께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현실적인 어려움과 도전 방안, 상권 비전을 공유했다. 지속 가능한 상권 생태계와 상생모델을 찾기 위한 대화의 장도 이어갔다.
이어 우 시장은 소상공인 정책과 상권 공동화 문제 해결 등 상권 활성화 정책 방안, 상권의 방향성에 대해 지역 소상공인과 로컬크리에이터,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는 등 소통에 주력했다.
시는 이날 행사에서 공유된 내용을 향후 소상공인 및 상권 활성화 정책 추진시 반영하는 한편, 앞으로도 꾸준한 소통을 토대로 상권 현장의 실질적인 목소리와 대안을 듣고 나누며 관련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범기 시장은 “상권 공동화 현상 등 상권 문제와 소상공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과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기회가 돼 뜻깊었다”면서 “지역의 위기 상황에서 골목상권과 상인이 지역 상권 활성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전주시는 민간과의 협력,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을 펼쳐 잠재된 지역 상권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 글로컬 상권 창출팀은 지난해부터 로컬문화 콘텐츠의 연결과 융합을 통한 ‘K-라이프스타일’ 글로컬 테마상권 조성을 목표로 △상권 운영모델 개발 △상권 활성화 협업 추진 △예비창업가 발굴 △동네상권 컨설팅 △앵커스토어 기업 발굴 및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율상권구역 지정 등 글로컬 상권의 지속 가능성과 활성화를 목표로 활동 중이다.
제7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이달 24~25일 열려

이번 제7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는 전국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한 곳에서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고, 사회적경제 정책과 다양한 사회적경제 연계 행사를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대규모 사회적경제 축제이다.
‘Sㅏ회연대경제로 세상을 E롭게’라는 표어(슬로건)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개막식 △폐막식 △전국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전시·판매하고, 체험할 수 있는 ‘판매체험관’ △사회적경제 정책과 역사, 자치단체 정책을 알아볼 수 있는 ‘정책홍보관’ △정책포럼 △시민을 위한 다양한 체험 및 참여 프로그램 등의 ‘부대행사’로 꾸며질 예정이다.
먼저 첫날 오후 3시 시청 앞 노송광장에서 개최되는 ‘개막식’에서는 주요 내빈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 타악공연과 선언문 낭독, 퍼포먼스 등을 통해 축제의 서막을 알린다.
또한 ‘판매체험관’은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상품·서비스 유형별로 구성됐으며,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와 자금 등에 대한 상담(컨설팅)을 위한 공공·민간 상담관도 함께 준비된다.
전주시청 별관 1층에 갤러리 형식으로 준비되는 ‘정책홍보관’에서는 사회적경제 주요 정책과 역사, 전주시와 전북특별자치도, 그 외 자치단체의 정책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여기에 새정부 사회적경제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에너지전환과 통합돌봄, 지역순환경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사회적경제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포럼도 마련된다.
이와 함께 이번 박람회에서는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의 사회적경제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청소년 창업 박람회’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성장 가능성을 발표하는 ‘IR 전국 발표대회’ △사회적경제의 가치인 상생을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는 ‘상생오락실’ △사회적경제 관련 퀴즈를 통해 참가자들의 사회적경제 이해도를 높이는 ‘협동골든벨’ △스탬프투어 △쿠폰지급 프로모션 등 사회적경제 관계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이 가족 단위로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될 예정이다.
시는 원활한 박람회 운영을 위해 행사장 내 운영 지원센터 등 안내·편의시설을 마련하고, 관람객 밀집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자원봉사자 등 안전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