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을 받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20일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팀)의 소환 요구에 재차 불응했다.
특검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오늘 오전 소환 통보된 이 전 위원장이 변호인을 통해 건강상 사유를 들어 불출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밝혔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 13일에도 출석을 통보받았으나, 건강상 이유를 들면서 불출석했다.
특검팀은 조만간 다른 날짜를 지정해 출석을 다시 요구할 예정이다. 이 전 위원장이 특별한 이유 없이 계속 불출석한다고 판단할 경우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있다.
한학자 통일교 총재도 특검의 출석 통보에 심장 관련 시술 등을 이유로 세 차례 불출석했다가 구속영장이 청구된 바 있다. 법원은 '증거 인멸 염려'를 이유로 영장을 발부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에게 윤석열 정권 초기 김건희 여사 측에 금거북이 등을 건네고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추궁할 방침이다.
참고인 신분인 이 전 위원장은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특검팀은 앞서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금거북이와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당선 축하 편지를 발견했다.
이에 이 전 위원장이 2022년 9월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는 데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 전 위원장은 임명 당시 교육계에서 적절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친일 인사를 옹호하는 등 왜곡된 역사관을 갖고 있다고 지적받은 그가 중장기 국가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직책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 전 위원장은 매관매직 의혹이 제기되자 지난달 1일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사표를 수리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의 비서로 일했던 박모씨도 이번 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