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는 2029년까지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을 20조원으로 확대해 성장을 지원한다.
22일 중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여성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돕는 펨테크 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하고,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친화산업 분야 창업을 지원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 등을 통해 여성기업이 첨단 유망 분야로 도전하도록 지원하고, 디지털전환(DX)·인공지능전환(AX) 촉진을 위한 업종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여성기업 스케일업(규모 확대) 지원 일환으로 매년 여성 전용 모태펀드 100억원을 출자하고, 우수 여성기업과 전문투자사 간 연계를 강화한다. 정책자금과 신규 보증은 연간 5000억원씩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12조1000억 수준이던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은 2029년까지 20조원으로 대폭 늘린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다. 2차 계획은 여성의 창업부터 성장, 글로벌 진출까지 전 주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김정주 중기부 중소기업전략기획관은 "여성기업은 저성장과 인구절벽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혁신의 주체"라며 "여성들이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창업과 기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