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세계 센텀시티가 부산 상권의 고급 주얼리 수요 증가에 맞춰 백화점 1층 주얼리 매장을 대폭 손질한다.
센텀시티는 이달 말부터 글로벌 하이주얼리 브랜드 신규 입점과 기존 매장 리뉴얼을 순차적으로 진행해 럭셔리 주얼리 비중을 더 키운다고 밝혔다.
백화점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센텀시티의 럭셔리 주얼리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30% 가까이 늘었다. 가을 혼수 수요와 함께 의류가 단조로워지는 계절적 요인, 금값 강세 속 고가 주얼리를 재테크·자산 겸용 소비로 보는 시각이 겹치면서 구매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그동안 여성 중심이던 주얼리 소비에서 남성 비중이 처음으로 30%를 넘긴 점이 눈에 띈다. 2020년 25%였던 남성 고객 비중이 5%포인트 이상 높아진 것으로, 30대와 40대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는 게 백화점의 설명이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영국 하이주얼리 브랜드 ‘그라프(GRAFF)’의 31일 오픈이다. 그라프는 다이아몬드 원석 채굴부터 커팅, 디자인까지 전 공정을 직접 관리하는 몇 안 되는 브랜드로, 제품 상당수가 억대 가격대에 형성돼 있다.
목걸이 한 점 가격이 1억원을 넘는 ‘틸다의 보우’ 컬렉션, 다이아몬드 파베 장식을 넣은 ‘버터플라이’ 라인 등이 부산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출점에 신중한 것으로 알려진 그라프가 부산 백화점에 단독 부티크를 연 것은 센텀시티의 주얼리 매출력과 상권 집중도를 방증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라프가 더해지면서 센텀시티는 까르띠에, 불가리, 티파니, 반클리프 아펠에 이르는 이른바 ‘5대 주얼리 브랜드’를 모두 갖춘 점포가 됐다.
수도권에 대형 경쟁 점포가 여러 곳 있는 것과 달리 부산·영남권에서는 대체재가 많지 않아, 센텀시티의 고가 주얼리 라인업이 지역 내 선택지를 사실상 흡수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이 같은 보강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는다. 다음 달에는 불가리 매장이 새 단장을 하고, 부산 유일 매장인 프레드도 면적을 넓혀 리오픈할 예정이다. 앞서 올해 초 부쉐론, 9월 부첼라티를 들여온 데 이어 내년 초에는 다미아니 리뉴얼까지 예고돼 있어 1년 넘는 기간 동안 주얼리 존이 계속해서 고급화되는 흐름이다.
신세계 센텀시티 권태우 해외잡화팀장은 “주얼리에 대한 지역 수요가 여성은 물론 남성까지 확장되면서 상권 자체가 커지고 있다”며 “부울경에서 대체하기 어려운 럭셔리 주얼리 구성을 지속적으로 가져가 지역 고객이 굳이 서울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