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 세계 각국 정상들이 참석할 전망이다.
28일 외교가 등에 따르면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호주, 인도네시아 등 21개 APEC 회원 대표가 정상회의 본회의 개막(31일)을 앞두고 29일부터 경주로 속속 집결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국빈 자격으로 한국을 찾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후 처음이자 2019년 이후 약 6년 4개월 만에, 시 주석은 2014년 이후 11년 만에 방한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오전 김해공항을 통해 입국한다. 그는 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지만 1박 2일 일정 동안 이재명 대통령, 시 주석과 각각 정상회담을 한다. 시 주석은 30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한국에 머무른다. 첫 일정은 미·중 정상회담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후 한·중 정상회담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는 지난 21일 취임한 이후 열흘도 안 돼 한국을 찾는다. 다카이치 총리는 30일 방한해 이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하고, 다음 날 APEC 정상회의 본회의 일정도 소화한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는 공식방문으로 방한한다. 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이 행사에 참여해 한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과 경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은 중남미 정상 중 유일하게 이번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칠레는 중남미 국가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다.
러시아는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영장이 발부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대신 알렉세이 오베르추크 국제문제 부총리를 필두로 한 대표단을 보낸다. 대만에선 총통 대신 행정원 부원장을 지낸 린신이 총통 선임고문이 참석할 예정이다. 홍콩도 정상급이 아닌 존리 행정장관이 대신 참석한다.
APEC 회원 자격은 아니지만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본회의에 참석한다.
경주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정상회의 주간' 일정에 공식 돌입했다. 지난 27일부터 이틀간은 21개 회원국 대표단이 참석하는 최종고위관리회의(CSOM)가 진행된다. 이어 29일부터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공동 의장으로 주재하는 외교·통상 합동각료회의(AMM)가 열린다. 아울러 28일부터 31일까지 APEC 정상회의 부대행사인 최고경영자(CEO) 서밋도 열린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CSOM을 열고 본회의 의제 등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CSOM에서는 우리 정부가 올해 APEC 정상회의 핵심 성과물로 추진하는 AI(인공지능)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이 논의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