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핵심 국정 어젠다로 내세운 이재명 정부가 정작 전력 등 에너지 소비량 감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모순된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5일 '제7차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7차 계획에는 2029년까지 국내총생산(GDP) 100만원을 창출하는 데 소비된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를 0.084toe/백만원으로 줄인다는 목표가 담겼다. 지난해 대비 8.7% 개선되는 셈이다.
이는 한국이 2023년 12월 유엔기후변화회의에서 에너지 효율 개선 수준을 두 배로 향상시키겠다고 선언한 데 따른 조치다.
다만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막대한 전력 소비가 수반되는 현실과 동떨어진 목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산업통상부와 기후에너지부는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올해 8.2TWh에서 2038년 30TWh로 거의 네 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최근 엔비디아가 공급을 약속한 AI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개가 들어오면 전력 사용량은 종전 대비 폭증할 수밖에 없다. 현재 국내에 있는 AI GPU는 6만5000여 개다. 엔비디아 GPU 26만장을 1년 동안 가동하는 데 드는 전력량은 2.7∼4.4TWh로 추산된다.
AI 데이터센터 신설·운영 외에도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설비 증설 등 산업용 전력 공급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에너지 소비 감축 원칙론을 내세우는 것은 기업은 물론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지난 7월 '대한상의 하계포럼 AI 토크쇼'에서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다. 데이터 산업은 전기 잡아먹는 하마"라며 "대한상의도 수도 없이 건의했지만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일각에선 기후에너지부 출범에 따른 필연적 귀결로 본다. 해당 부처는 기존 환경부의 기후·환경 업무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업무를 합친 조직이다. 산업과 환경 이슈가 상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환경에 방점을 두고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기후에너지부의 인식적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AI가 정보기술(IT) 분야는 물론 산업 전반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라는 점에서 전력 수요는 기존 전망치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4년 후 에너지 소비량을 현재보다 더 줄이겠다는 정부 목표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하는 배경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