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관광 투자기업들, 자산 '전액보상' 촉구

  • "재개 희망이 없는 상황"

  • 통일부 장관 면담 요청도

금강산관광 투자 기업 등으로 구성된 남북경협단체연합회 소속회원들이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피해보상 특별법 제정 촉구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강산관광 투자 기업 등으로 구성된 남북경협단체연합회 소속회원들이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피해보상 특별법 제정 촉구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강산관광 투자 기업들이 18일 정부에 투자금 '전액' 보상을 촉구했다.

남북경협단체연합회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8년 7월 12일 국가가 폭력적으로 중단한 금강산관광은 재개되리라는 희망 고문을 당하면서 17년이 지났다"며 "그 사이에 금강산관광 시설은 모두 철거됐고 남북을 잇는 철도와 도로는 철거되고 폭파돼 금강산 기업들의 사업 기반은 없어져 버렸다"고 밝혔다.

피해 기업들은 2018년 당시 유동자산 90%와 투자자산 45%를 지원받았다. 투자자산 45% 지급 기준이 개성공단 보험 미가입자 기준이기에 불합리하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협회는 "2018년 지원금 지급 시기에는 재개라는 희망 속에서 이런 불합리함을 알면서도 받아들였지만 7년이 지난 지금 재개 희망이 없는 상황이라 투자자산 100% 지급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들은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게 "국가폭력의 희생자로 관광 중단 17년간 고통받고 있는 금강산·남북경협기업인들을 직접 만나 의견을 듣고 판단해 달라"며 면담을 요청하기도 했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 8월 경협·교역·금강산 기업단체 면담을 가진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와 관련해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듣고,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