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지난 24일부터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산하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주최 ‘제14차 유엔 기업과 인권 포럼’에 참석했다고 26일 밝혔다.
카카오는 인권 기반 인공지능(AI) 및 기술의 공공 기여 사례를 발표했다.
유엔 기업과 인권 포럼은 2011년 채택된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의 실천을 논의하는 글로벌 회의로, 정부·기업·지역공동체·유엔 기구·인권단체·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석한다.
카카오는 이번 포럼의 ‘인공지능 시대의 인권 증진’ 세션에 참여했다. 발표를 맡은 하진화 카카오 인공지능 안전 시니어 매니저는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과 운영 전 과정에 인권 보호 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한국어·문화적 맥락에 최적화된 AI 가드레일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공공 조달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 서비스 출시, 운영 전반에 인권 관점의 거버넌스를 내재화해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의 ‘안전한 AI 핵심 체크리스트’는 국가인권위원회의 ‘AI 인권영향평가 도구’를 주요 참고문헌으로 삼아 제작됐으며, 그룹 AI 윤리 원칙인 ‘카카오 그룹의 책임 있는 AI 가이드라인’에도 인권 관련 원칙을 명확히 반영했다. ‘디지털 아동·청소년 보호 체크리스트’ 또한 유니세프의 디지털 아동 영향평가를 토대로 마련됐다.
이 같은 내부 기준은 OHCHR, AI Alliance 등 글로벌 기관과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있다.
카카오는 안전한 AI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공적 기여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 5월에는 AI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가드레일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를 국내 기업 최초로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현재 카카오 주요 AI 서비스에 적용 중이다.
최근에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KAIST와 함께 생성형 AI 안전성 평가 데이터셋 ‘AssurAI’를 공동 개발했다. 총 1만1480건으로 구성된 이 데이터셋은 글로벌 AI 위험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국내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했으며, 허깅페이스를 통해 연구·평가용으로 공개됐다.
김경훈 카카오 인공지능 안전 리더는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과 서비스 운영에서 이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며 “기술의 투명성 확보와 공공 기여 확대를 통해 인권 존중 기업으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기술 생태계와 사람 중심의 AI 구현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