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항공엔진 개발 속도…산업부·방사청 등 범부처 협의체 출범

공중에서 플레어Flare를 발사하고 있는 KF-21 사진공군
공중에서 플레어(Flare)를 발사하고 있는 KF-21. [사진=공군]
정부가 차세대 항공엔진 개발에 속도를 낸다.

산업통상부는 국토교통부, 방위사업청, 우주항공청,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28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첨단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범부처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의체는 차세대 전투기급에 적용하기 위한 첨단 항공엔진 개발계획을 점검하고 범부처 협력을 위한 폭넓은 의견수렴에 나서기 위해 마련됐다.

항공엔진 기술은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극소수 국가만 보유한 대표적 전략기술로 국제 통제체제에 따라 엄격히 규제되고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이도 기술이다. 

특히 첨단 항공엔진은 차세대 전투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으로 국내 기술로 개발할 경우 해외기업에 지급하던 막대한 유지·정비 비용을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 국산 전투기에 장착해 수출까지 이어질 수 있어 국가 경제에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앞서 방사청은 올해 1월 국산 첨단 항공엔진 기술 확보를 위해 첨단기술사업관리위원회를 통해 '첨단 항공엔진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개발인력 양성과 시험 인프라 구축, 소재·부품 생태계 조성 등 전 주기에 걸친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범부처 협의체를 통해 산업부, 방사청, 우주청 등 관계 부처는 첨단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 또 협의체를 활용해 부처별 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기술개발(R&D) 단계별 주요 현안을 주기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이선혜 산업부 첨단민군혁신지원과장은 "산업부의 핵심 소재·부품 기술개발 경험 등을 바탕으로 첨단 항공엔진의 기술자립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며 "항공엔진 제조생태계 구축에도 적극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협의체가 우리 항공엔진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승욱 국토부 항공기술과장은 "첨단 항공엔진 개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증이 필수적인 만큼 국토부의 인증수행·국제협력 경험 등을 활용하겠다"라며 "군수용 인증 지원은 물론 민수용 인증도 병행해 상용화와 해외수출의 기회로 만들겠다. 협의체를 통해 개발과 인증이 함께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