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평균성장률 3배 상회
미국 금융불안이 지난해 전세계를 휩쓴 가운데도 한국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다른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한 걸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를 비롯한 OECD 30개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계절조정)은 직전분기보다 평균 0.5%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한국은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1.6%로 OECD 평균 성장률을 3배 넘게 상회했다.
한국보다 경제성장률이 높은 나라는 비교적 경제 규모가 작은 체코(1.7%), 폴란드(2.0%), 슬로바키아(3.3%) 등 3개국 뿐이었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일본이 직전분기 0.3%보다 높은 0.9% 성장해 비교적 선전했다.
반면 미국은 0.1%를 기록해 마이너스 성장을 한 아일랜드(-0.8%)를 제외하면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서방 선진 7개국(G7) 가운데 최종 집계가 되지 않은 이탈리아를 제외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캐나다 등 6개국의 평균 성장률도 전 분기 0.9%보다 크게 낮아진 0.3%에 그쳤다.
유럽지역의 4분기 성장률 역시 0.4%로 전분기 0.7%에 비해 둔화했다.
특히 독일(0.3%), 프랑스(0.4%) 등 경제대국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으며 스페인(0.8%)과 네덜란드(1.2%) 등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한은은 유럽지역의 성장세 둔화에 대해 유가 상승과 신용경색으로 소비와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데다 유로화 강세, 미국 경기 둔화로 수출 역시 부진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일보'(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