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화 약세가 계속되면서 자녀를 해외로 유학 보낸 부모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화옵션(외환선도거래) 상품을 통해 환위험을 헤지한 일부 수출기업도 환차손으로 울상을 짓고 있다.
8일 은행권에 따르면 7일 기준으로 중국에 4만위안을 송금하기 위해서는 569만원 정도가 필요하다.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송금 부담이 100만원 가량 늘어난 셈이다.
중국으로 자녀를 유학 보낸 부모들은 최근 원화 약세와 위안화 강세 여파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위안화는 직접 송금이 불가능 해 원화를 달러로 바꾼 뒤 다시 위안화로 환전해 송금해야 한다.
지난해 11월 초 달러당 903원선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7일 1026원까지 치솟았고 같은 기간 위안/달러 환율은 달러당 7.4707위안에서 6.9877위안으로 하락했다.
원화가 유로, 엔화, 호주 달러, 캐나다 달러 등 주요국 통화에 대해서도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에 송금해야 하는 고객들의 부담도 커지게 됐다.
달러에 대해 6개월간 11.9% 절하된 원화는 엔화에 대해서는 19.1% 절하됐으며 유로와 호주 달러에 대해서도 각각 17.0%와 12.6% 절하됐다.
통화선도거래(옵션) 등으로 환위험을 헤지한 기업들도 환율 급등으로 환차손을 입고 있다.
환율이 단기간 내에 급등하면서 계약 당시 설정한 상단을 넘어설(녹인) 경우 계약 금액의 2~3배를 시장가보다 낮은 지정환율로 팔아야 돼 평가손을 입게 되는 것이다.
강소영 기자 haojizhe@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