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1차 정상회담이 열렸던 지난 4월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일본 도야코 G8(선진 8개국) 확대정상회의와 지난 달 24-25일 중국 베이징(北京) 제7차 아셈 정상회의에 이은 이번 세번째 다자외교 무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해법 마련을 위해 각국 정상들과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특히 해법도출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한 단계 격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향후 국제금융체제 재편 논의과정에서 한국을 위시한 신흥경제국들의 참여 필요성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14-16일 워싱턴 체류기간 브루킹스 연구소 간담회,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접견, 조지 부시 미 대통령 주최 정상만찬, G20 1-2차 정상회의, 미 상의회장 접견, CNN 회견 등의 일정을 소화한다. 브루킹스 연구소 간담회는 사실상 버락 오마바 미국 대통령 당선인측과의 첫 접촉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G20회의서 국제공조와 신흥경제국 역할 역설 = 이번 방미의 하이라이트인 G20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방안과 함께 금융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국제금융체제 개편 및 강화, 신흥경제국이 포함되는 다자간 협력체제 구축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그간 이 대통령은 기존의 세계 금융체제가 세계화와 정보혁명, 국제경제 환경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만큼 위기에 대한 조기경보와 건전한 감독체제, 사후 신속한 대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주창해 왔다.
이 대통령은 또 이번 금융위기로 세계가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당시 각 국이 보호주의 장벽을 치는 바람에 경기불황이 더 오래갔던 만큼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게 이 대통령의 소신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이 대통령이 이번 회의에서 전하려는 메시지는 크게 두가지"라면서 "첫번째는 국제금융체제를 개선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선진국만이 아닌 신흥경제국이 함께 참여해 해결책을 공동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위기를 틈탄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절대 안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반기문 사무총장 접견, 상의회장을 비롯한 미 업계 대표 간담회에서도 금융위기 등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미 업계 간담회에서는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확대 요청도 할 것으로 알려졌다.
CNN과의 회견에서는 국제금융 질서 재편 등 이 대통령 나름의 금융위기 해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한국의 경제상황에 대한 솔직한 설명을 토대로 `한국 바로알리기'에 주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오바마측과 외교.안보 간담회 = 이 대통령은 경제 못지 않게 정치.안보외교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내년 초 `오바마 정부'가 출범하면 한반도의 정치.안보환경이 급격히 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이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여장을 풀 여유도 없이 첫 일정으로 브루킹스 연구소 연구원들과의 간담회를 잡은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전통적으로 미국 민주당의 `싱크탱크'로 알려져 있는데다 실제 상당수 연구원들이 오바마 당선인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미국 차기정부 외교정책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어 이번 간담회는 향후 한미 외교관계를 점쳐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특히 최근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 처리가 양국 의회에서 난항을 겪고 있고, 북한의 잇단 대남 강경책으로 남북관계가 최대 고비를 맞고 있는 가운데 열려 참석자들의 발언 하나하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간담회에는 스트로브 탈보트 소장을 비롯해 이 연구소 출신으로 오바마 캠프에서 활동한 수전 라이스 국가안보문제 보좌역, 제프리 베이더 아시아정책 담당자. 이보 달더 수석 연구원 등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간담회는 브루킹스 연구원들이 오바마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이어 이 대통령이 우리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를 설명한 뒤 자유토론을 갖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 대통령은 한미 FTA를 조기에 비준하는 것이 양국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는 동시에 6자회담 틀내에서 북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북핵폐기에 도움이 될 경우 오바마 당선인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천명하고, 올초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 관계'에 따라 양국간 협력 관계를 모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역설할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