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은행들이 일시적 자금난을 겪는 건설사들의 대주단 조기 가입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17일 금융당국과 은행업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18일 건설업계 관계자 200여 명을 대상으로 대주단 협약 가입의 장점과 운영방식 등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금융위 임승태 사무처장은 "정부는 가능한 한 빨리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이 대주단에 가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아직 신청한 곳은 없지만 주 채권은행이 개별 건설사를 접촉해 권유하고 있는 만큼 신청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 처장은 "대주단 협약이 살생부로 잘못 알려지면서 건설사들이 가입을 기피하고 있지만 실제 대주단 가입은 은행들로부터 유동성 지원을 받는 상생부"라며 "정부도 은행권과 함께 건설회사의 조기 가입을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애초 17일을 1차 목표시한으로 정하고 가입을 독려했지만 건설사들이 대주단 협약 가입시 경영권 유지 문제와 비자발적인 자산 처분 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함에 따라 별도의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체들은 개별적으로 대주단에 가입하면 사의 평판이 악화할 것을 우려해 눈치만 보는 상황이다.
임 처장은 "건설사의 대주단 가입이 부진함에 따라 집단으로 가입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마감 시한을 정하지는 않았다"며 "가입을 원하는 건설사는 언제든 신청할 수 있고 가입 여부는 은행이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금난에 처한 건설사가 대주단에 가입하면 1년 동안 금융 지원을 받게 되지만 은행권에서 가입을 거절하면 지원을 받을 곳이 없어 퇴출이 불가피해진다.
물론 재무상태가 좋아 대주단에 가입하지 않아도 되는 업체는 신청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 해당하는 건설사는 100대 업체 가운데 10여 개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주단에 가입 신청을 할 건설사는 80개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금까지 30여개 건설사가 은행에 가입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건설사들의 눈치 보기가 심해 막판에 한꺼번에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