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뉴욕증시에서는 기업들의 악화된 실적 발표가 이어진데다 고용과 소비, 주택시장 등의 지표들이 최악의 수준을 기록함에 따라 투자심리가 급랭, 주가가 급락했다.
잠정 집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226.44포인트(2.70%)나 떨어진 8,149.01로 마감됐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50.50포인트(3.24%) 내린 1,507.84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845.14로 28.95포인트(3.31%) 떨어졌다.
이날 시장에서는 고용과 소비, 주택시장의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일제히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됐다는 소식으로 투자심리가 냉각돼 주가가 급락세를 보였다.
새로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은 대부분 유사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된 기록을 경신하고 있어 조기에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미국 노동부는 17일 기준으로 실업수당을 받는 실업자수가 477만6천명으로, 통계작성 이후 최고 기록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지난주 실업수당을 새로 신청한 사람은 58만8천명으로 한 주 전보다 3천명 늘어나면서 3주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소비지표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악화됐다.
상무부가 발표한 작년 12월 내구재 주문 실적은 전달대비 2.6% 감소, 5개월 연속 줄었다. 이로써 작년의 연간 내구재 주문은 5.7%나 감소해 2001년(-10.7%) 이후 가장 부진한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12월 신규 주택판매 실적도 33만1천채로 한 달 전보다 14.7%나 급감하면서 1963년 통계작성 개시 후 가장 부진했다.
또 판매된 주택의 중간가격은 20만6천500달러로 1년 전에 비해 9.3% 하락한 것으로 집계돼 주택 구매수요가 급감했음은 물론 가격도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 자동차 '빅3'가운데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지 않은 포드가 대규모 적자를 내면서 보유 현금을 소진해가고 있다는 소식도 전망을 암울하게 만들었다.
포드는 이날 발표한 실적에서 작년 4분기 순손실이 59억달러(주당 2.46달러)에 달했으며 4분기에만 55억달러의 보유현금을 소진했다고 밝혔다.
미 하원이 8천19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을 의결했지만, 공화당 의원 전원이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상원 통과가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감원 계획을 발표한 올스테이트와 이스트만 코닥은 20.2%, 29.6%씩 하락했고 최근 해고 계획을 내놓았던 홈디포(-3.4%)와 화이자(1.8%), 스프린트넥스텔(-5.3%) 등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작년 4분기 순익이 68%나 줄어든 스타벅스는 300개 점포폐쇄와 감원 등의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으면서 강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순익이 3억4천100만달러로 감소한 퀄컴은 4.7% 떨어졌다.
씨티그룹과 뱅크오브아메리카(BOA)도 각각 7.1%, 8.3% 떨어지는 등 S&P 500의 10개 주요종목 중 금융업종이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