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공 “명퇴·희퇴 신청 받는 중”
가스공 “가능성 배제 못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을 중심으로 한 ‘희망퇴직’ 바람이 일부 에너지공기업들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예퇴직 또는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거나 이를 아우르는 인력감축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원대비 간부 인력비율이 정부의 지침(14~15%)에 맞게 유지되고 있다는 주장과 사업 확장에 따른 충원이 없어 자연스레 감원효과를 보고 있다는 의견이 함께 제기돼 향후 정부와의 의견충돌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사내 간부비율(14%)이 정부지침에 맞고 정원은 부족한 상태이나 내부적으로 명퇴나 희퇴 신청을 받고 있는 상태다. 정부의 최근 공기업 인력 1만9000명 감축계획의 연장선상인 셈이다.
광물공사 관계자는 18일 “정부 계획에 발맞춰 명퇴나 희퇴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2월 현재까지 지원자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한전이나 한수원과 같은 대형 공기업들은 자발․비자발적 퇴직신청이 있을 수 있겠으나 광물공사는 사업 확장으로 인해 오히려 인력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도 “당장 퇴직시행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은 없으나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가스공사 역시 해외사업 추진 탓에 500여명 정도의 추가 인원이 필요한 실정이나 구체적 인력감축 규모 및 지침이 정부로부터 하달, ‘울며 겨자 먹기’ 식의 ‘액션’을 취할 수밖에 없다.
반면 지역난방공사와 석탄공사는 인력 난 탓에 퇴직시행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
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올해 몇 가지 신규 사업이 예정돼 있으나 별도의 인력증원 계획이 없다”면서 “자연스레 인력감축효과가 발생돼 명퇴나 희퇴 시행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석탄공사의 경우 지난해 작년 9월부터 12월까지 16.1%(384명)의 인력을 감축, 일손이 부족한 상태라면서 난방공사와 같은 상황임을 강조했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