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출범 1주년을 앞두고 여권 핵심부가 한자리에 모인다. 지난 1년을 평가하는 한편 집권 2년차를 맞아 국정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당정청 출범식' 성격의 모임이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오는 20일 오전 총리공관에서 열리는 '고위당정협의'을 열고 국정 운영 방향 및 당정 관계 정비 방안 등을 논의한다. 고위당정협의가 열리는 것은 1.19 개각 이후 처음인데 당정청 핵심 인사들이 총출동한다.
당에선 박희태 대표와 정몽준 최고위원 등 최고위원단, 홍준표 원내대표 및 각 정조위원장이 모두 나선다. 정부쪽에선 한승수 국무총리, 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을 국무위원들이 참석한다. 정정길 대통령실장, 윤진식 경제수석, 맹형규 정무수석 등은 청와대를 대표해 자리를 함께 한다.
참석 대상만 38명에 이르는 매머드급 회의다. 한 당직자는 "이명박 대통령만 빠진 사실상 최고위층 회의"라고 평했다.
이날 회의 안건은 △이명박 정부 출범 1주년 성과 △일자리 지키기·창출, 민생안정 지원 등을 위한 추경예산 편성 방안 △바람직한 국정과제 추진 방향 등 3가지다.
크게 보면 1년 평가와 향후 국정 방향이 골자다. 이와관련 당 정책위 관계자는 "결론을 내는 자리라기보다 1년을 평가하고 추경, 당정관계 등 향후 국정 운영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라며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당정청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게 주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정부 출범 1년을 맞아 당정청이 하나가 돼 새 출발을 선언하는 자리란 얘기다.
실제 여권은 이날 회의를 기점으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2월 국회 막바지 격돌에 앞서 대규모 당정 협의를 여는 것 자체가 강한 압박 전술이란 시각도 있다.
한나라당 핵심 의원은 "박희태 대표가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대국민 호소를 하고 20일 당정청 회의로 한목소리를 내면 지지부진했던 입법 작업이나 국정 흐름이 한층 속도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상현 대변인도 “이날 당정협의에선 ‘100대 국정과제’와 현 국회 법안처리 상황, 일자리 창출 문제 등 경제현안들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