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올 2~3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외채 규모가 104억달러(단기 77억달러, 장기 27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한은은 이날 '국내 은행의 외화차입 동향' 자료를 발표하고 "2~3월 만기 도래 채권 가운데 상당 부분은 차환이 가능해 실제 상환해야 하는 규모는 이보다 작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월 이후 올 연말까지 만기 도래 규모는 245억달러(단기 139억달러, 장기 106억달러)이며 2010년 이후 만기 도래 규모는 433억달러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올 만기 도래분 245억달러는 1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2017억4000만달러)을 감안하면 큰 규모가 아니라고 평가했다.
이는 최근 금융시장 불안으로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해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 후 글로벌 신용위기로 크게 악화됐던 국내 은행의 외화차입 여건이 올 들어 개선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1월 중 국내 은행의 장단기 외화차입금의 만기 도래 규모가 크게 줄어든데다 그동안 여의치 않았던 외국계 은행으로부터의 장단기 차입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단기차입 차환율이 지난해 10~12월 40% 미만에서 올해 1월 중 86%, 2월 1~13일에는 104%로 크게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